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국가경쟁력지수와 국가신용등급이다.
68) 국가경쟁력지수
국가경쟁력지수: 한 국가가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국민경제의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끌어내는 능력
국가경쟁력지수는 국제경쟁력이라고도 한다. 국가경쟁력을 다양한 요소별로 평가하여 합산해 지수화한 것이다. 다양한 국가경쟁력지수가 있고, 가장 유명한 것은 세계경제포럼(WEF)과 국제경영개발원(MID)의 지수이다.
1. 세계경제포럼 (WEF; World Economic Forum)
유명한 기업인, 저널리스트, 경제학자들이 모여 세계 경제를 연구하는 국제민간회의이다. 하버드경영대학원의 지원과 함께 산업계 인사들과 주요 국제기구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매년 세계 각국의 국제경쟁력지수를 발표한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는 13위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3개 분야로 구성된다.
① 기본요인: 4개 분야 (인프라, 제도, 보건 및 초등 교육, 거시경제안정성)
② 효율성 증진: 6개 분야 (금융시장 성숙도, 기술 수용성, 시장 규모, 고등교육 및 훈련, 상품시장 효율성, 노동시장 효율성)
③ 혁신 및 성숙도: 2개 분야 (혁신, 기업 성숙도)
2.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 (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전 세계 140여개의 국가 경쟁력을 통계지표와 기업인 및 연구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평가해 발표한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23위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4개 분야로 구성된다.
- 정부의 효율성,사회간접자본, 경제 운용성, 기업의 경영효율성 등
69) 국가신용등급 (Sovereign credit rating)
국가신용등급: 국제신용평가사(S&P, 무디스, Fitch)에서 한 국가 정부의 채무 이행 능력과 의사 수준을 평가한 등급
개인, 기업처럼 국가도 세금이 생각만큼 걷히지 않으면 여기저기서 돈을 빌려 학교를 세우고 도로를 만든다. 그래도 돈이 부족하면 외국에서 돈을 빌린다.
돈을 빌려주는 미국 등의 국가에서는 빌려줬는데 안 갚으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이 되니, 신용등급평가사에서 국가별로 돈을 떼먹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여 등급을 매기게 한다. 이것이 국가신용등급이다. 국가신용등급은 아주 아주 아주 중요한 경제개념이다. 별표를 마구 쳐주세요.
국가신용등급은 국제금융시장에서 투자여건이나 차입금리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 미국의 S&P, 무디스(Moody's), 영국의 피치(Fitch) 등과 같은 국제신용평가기관에서 해당 국가의 정치적 요소(정치체제 안정성, 안보상의 위험 등)와 경제적 요소(경제성장률, 대외 채무불이행 및 외채규모 등)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신용등급을 평가한다.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정부는 다른 국가에서 돈을 빌리기 어렵게 된다. 해당 국가에 속한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낮아지면, 삼성전자도 얼떨결에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다. 즉, 국가신용등급은 해당국의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개별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데에 하나의 기준이 된다. 반대로 국가신용등급이 올라가면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등이 아주 다양한 해외 은행들로부터 더 낮은 가산금리(위험 프리미엄)로 외화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외화차입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달러가 흘러넘치게 되고, 환율은 하락한다.
국가신용등급은 주가에도 영향이 미친다.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상승하면 외국인들은 한국에 대하여 호의적인 관점을 가지게 된다. 덕분에 한국 주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외국인 유입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한다. 반대로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외국인에 의해 주가가 폭락한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일반 상식일 뿐 맞지 않을 때도 있다.
'금융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국고대리점과 이제 쓰지 않는 국고수표 뜻 (72,73) (0) | 2021.04.27 |
---|---|
쉬운 국가채무와 국고금 실시간 전자이체 뜻 (70,71) (0) | 2021.04.26 |
쉬운 구제금융과 은행의 구조적 이익률 뜻 (66, 67) (0) | 2021.04.22 |
쉬운 구속성예금과 구인배율 뜻 (64, 65) (1) | 2021.04.21 |
정말 쉬운 교환성 통화와 구매력평가환율(PPP) 뜻 (62, 63) (0) | 2021.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