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언어

쉬운 국고전산망과 국내공급물가지수 뜻 (74,75)

by pearlant 2021. 4. 28.
반응형

 

 

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국고전산망과 국내공급물가지수이다. 

 

 

74) 국고전산망

 

 

국고전산망: 한국은행에서 국고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기 위해 구축한 전산망 (2003년 1월)

 

 

한국은행, 금융기관(우정사업본부 포함), 정부(디지털 예산・회계시스템(dBrain)) 및 금융결제원의 전산시스템을 서버 접속 방식으로 연결한 전산망이다. 국고전산망 운영시간은 오전 9시~오후 4시이다.

 

 

국고전산망



국고전산망을 이용하여 취급하는 업무는 다음과 같다.

1. OLTP(On-line Real Time Transaction Processing) 방식 : 실시간 전자이체업무
2. FTP(File Transfer Protocol) 방식 : ​국고금 실시간 전자이체 업무

국고전산망 참가대상 기관은 아래와 같이 한정하고 있다.
- 기획재정부
- 한국은행과 국고수납대리점계약을 체결한 금융기관
- 한국은행 이외의 국고금수납기관 (금융결제원, 우체국)

 

 

 

 

 

 

75) 국내공급물가지수

 

 

국내공급물가지수 (kosis)

 

 

국내공급물가지수: 국내에 공급되는 모든 물건을 생산단계별로 나누어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수

 

 

내가 좋아하는 압구정 식빵 가격이 4,800원에서 5,300원으로 올랐다.

 

식빵 가격이 오른 것은 국제 밀값 상승(원재료), 밀가루 값 급등(중간재) 때문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롤링핀 사장님께서 가격(최종재)을 올렸을 수도 있다. 

 

이 식빵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어느 생산단계에서 식빵 가격이 오르게 되었는지 알아야 그에 맞는 대책을 세우고 낮출 수 있다. 그런데 밀가루는 원자재이기도 하면서 최종 소비재로 쓰이기도 한다. 복합적 성격을 띠는 것은 복수 항목으로 처리된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물가가 변동함에 따라 국내에 공급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단계별로 나눠서 물가를 낸 지수이다. 원재료와 중간재최종재의 생산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흔히 쓰는 물가지수는 아니고, 소비자물가지수나 생산자물가지수가 대장이다.

 

 

국내공급물가지수 원재료 (kosis)

 

국내공급물가지수 중간재 (kosis)

 

 

국내공급물가지수 최종재 (kosis)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내 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요금(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공장도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

우선,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해 국내시장에 공급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수이다. 이 지수에는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에 해당되는 모든 품목이 포함된다.

 

생산자물가지수 (통계청 「생산자물가지수」)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이러한 상품과 서비스를 각각의 가공단계에 따라 분리하여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 지수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그렇기에 국내공급물가지수에서는 가공단계별로 가격 변동이 중복 계산될 여지가 적다.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특히 소비자물가지수와 포괄범위가 일치하는 최종재(최종 소비재)지수를 이용해 소비자 물가의 변동요인을 수입품과 국산품으로 구분하여 분석이 가능하고, 자본재(생산활동에 사용하는 기계, 장비)지수특정 기업에 대한 투자 분석에 활용한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