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언어

정말 쉬운 국내총투자율과 국민계정체계 뜻 (78,79)

by pearlant 2021. 4. 30.
반응형

 

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국내총투자율과 국민계정체계이다.

 

 

78) 국내총투자율 (Gross Domestic Investment Ratio)

 

 

국내총투자율: 국민경제가 구매한 재화 중 자산 증가로 나타난 부분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

 

 

소득 대비 투자가 늘어나는지 줄어드는지 볼 수 있는 단적인 지표이다. 국민경제의 선순환 사이클소득증가하여, 이 소득으로 투자해서 경기활성화시키고, 다시 이것이 소득 증가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친다. 그렇기에 이러한 부분을 진단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한국은행에서 소득 발표 시 같이 발표한다.

 

국내총투자율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국내총투자율 = 자산증가분 ÷ 국민총처분가능소득

 

 

국내총투자율 (Gross Domestic Investment Ratio)

 

 

국민경제의 자산 증가에 쓰인 모든 재화는 고정자산과 재고자산으로 구분한다.

- 고정자산 = 국내 총고정자본형성 or 고정투자

- 재고자산 = 재고증감 or 재고투자

- 고정자산 + 재고자산 = 총자본형성 or 국내 총투자

 

이에 따라 국내총투자율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 대한 총자본형성의 비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30%로 높은 편이다. 2019년 기준 미국, 독일, 대만의 국내총투자율은 20%, 일본은 23%이다. 나라 살림에 아주 중요한 지표이다. 정치권에서 투자가 적다, 활성화해야 한다 등등의 근거가 이 지표이다. (그렇게 적진 않아요)

 

※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 = 국민처분가능소득(GNI) + 국외순수취 경상이전

※ 국외순수취 경상이전 : 해외에 무상으로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

 

 

 

 

 

 

 

79) 국민계정체계 (SNA; System of National Accounts)

 

 

국민계정: 국민 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회계

 

 

한 국가 내에서는 여러 경제 추제가 다양한 경제활동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설명하고 기록하는 체계이다.

 

즉, 국민경제의 종합 재무제표이다. 기업에서도 복잡한 회사의 경영활동을 파악해보기 위해 정해진 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그것의 국가 버전이라고 보면 될 거 같다. 

 

따라서 국민계정에는 정말 다양한 경제주체와 경제활동의 상호작용에 대한 상세 정보를 담은 수많은 통계표로 구성된다. 이러한 통계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국의 국민계정체계 (2020, 한국은행)


국민계정의 기본체계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생산계정 :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활동
2) 소득계정 : 소득의 분배와 사용
3) 자본계정 : 자본의 조달과 축적

   예) 비금융자산의 취득과 처분 등

4) 금융계정 : 금융자산 및 부채의 취득과 처분

5) 국외계정 :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 거래

6) 대차대조표계정 : 경제 전체의 자산과 부채 현황

 

 

기업처럼 국가도 일정 기간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경제주체의 경제활동을 일정 시점에서의 국민경제의 전체 자산과 부채를 파악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국민계정체계)에 따라 국민계정을 작성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