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언어

중요한 국내신용과 국내총생산(GDP) 뜻 (76, 77)

by pearlant 2021. 4. 29.
반응형

 

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국내신용과 국내총생산(GDP)이다.

 

 

76) 국내신용 (DC; Domestic Claims or Domestic Credit)

 

 

국내신용: 통화 금융기관이 정부, 민간부문을 통해 공급한 (빌린) 통화

 

 

통화(돈)는 정부, 민간, 해외 및 기타 부문을 통해 공급된다. 이 중 통화금융기관이 중앙정부·민간정부, 기업, 사회보장기구, 가계, 기업, 기타 금융기관 등을 통해 공급한 통화가 국내신용이다.

 

 - 정부신용: 정부가 세입보다 세출이 많을 때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

 - 민간신용: 가계의 대출금이나 정부 융자, 기업의 대출금이나 채권이나 정부 융자

 - 국내신용: 정부신용 + 민간신용

 

 

즉, 국내신용에는 부문별로 금융기관의 정부 및 민간에 대한 대출과 이들이 발행한 유가증권, 주식 및 기타 지분 등이 포함된다. 이에 각 부문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통화가 공급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통화공급 경로를 주체에 따라 나누면 통화정책 운용 시 각 부문별 신용공급을 고려할 수 있다. 통화량이 통화신용정책 이외에도 재정수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국내신용

 

 

1. 중앙정부부문에 의한 통화공급 : 정부 재정활동의 결과인 재정수지에 따라 규모 결정

2. 민간부문에 의한 통화공급(=민간신용) : 금융기관이 기업과 가계에 대출해주거나 기업이 발행한 유가증권을 금융기관이 매입하는 등의 형태

 

재정정책과 통화신용정책이 분리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은 정부신용과 민간신용의 구분에 큰 의미가 없어 이를 합한 국내신용을 통화정책의 중간 목표로 이용하기도 한다.

 

1998년 물가안정 목표제 시행 이전에는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에 대해 최종 목표와 중간 목표가 있었다.

- 최종 목표 : 물가안정, 경제성장 등

- 중간 목표 :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중앙은행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변수

  예) 통화량, 금리 등

 

 

한국은 1960년대 말의 경기과열, 물가상승 및 국제수지 악화 등에 대처하여 기업의 투자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내 투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내 신용을 1970년~1977년 동안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 중간 목표로서 사용했었다.

 

 

 

 

 

 

77) 국내총생산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영토) 안에서 모든 경제주체에 의해 생산최종 생산물에 대한 시장가치의 합

 

국내총생산은 국민소득 지표로, 뉴딜 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1934년 사이먼 쿠즈네츠(노벨경제학상 수상자)에 의해 개발됐다. '땅(영토)'이 기준이므로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의 소득도 포함된다. 최종재만 해당하기에 부품 등 중간재는 GDP에 해당하지 않는다.

 

 

국내총생산 (GDP)

 

국내총생산은 물가 변동 고려 여부에 따라 명목GDP와 실질GDP로 구분된다.

 

1. 명목GDP(Nominal GDP) : 당해연도 산출물 가격 × 당해연도 산출물

물가 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시장 가격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명목GDP로 국민소득을 측정하면 연도 간 비교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경제성과를 과대 또는 과소평가하게 되어 경제 성과에서는 쓰지 않는다. 국가경제의 규모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한다.

 

2. 실질GDP(Real GDP) : 기준연도 산출물 가격 × 당해연도 산출물

물가 변동을 고려하여 재화의 수량으로 계산한다. 실질GDP는 기준연도의 물가로 계산하기 때문에 과대, 과소평가할 위험이 없다. 따라서 과거 경제와 비교하거나, 경제성장률을 지칭할 때는 이 지표를 사용한다.

 

 

명목GDP와 실질GDP (NAVER)

 

 

추가적으로, GDP 디플레이터란 명목GDP를 실질GDP로 변환하는 지표를 말한다. 디플레이터(deflator)는 가격 변동지수를 의미한다.

 

3. 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실질 GDP) × 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