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경제후생지표와 경직적·신축적 물가지수에 대해서이다.
38) 경제후생지표 (MEW; Measure of Economic Welfare)
경제후생지표(MEW) = GDP + 가정주부 서비스, 여가 가치 - 공해 비용
중요한 것을 되돌아보는 시기이다.
‘국민소득 n만 불’이 국정목표였던 사회에서 무한경쟁시대가 도래하며 행복과 같은 가치가 중요해졌다. 경제성장에서 얻을 수 있는 혜택은 소득증대를 통한 물질적 풍요뿐이다. 그런데 돈과 일자리는 결국 모두 행복을 위한 것이다. 그렇다면 경제성장에 대한 평가도 행복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흐름이 요즘 추세인데, GDP 또한 마찬가지로 1970년대부터 경제활동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일 뿐 후생지표가 아니라는 점에서 많은 의구심을 받았다. 그리하여, 1973년. 미국의 노드하우스와 토빈가 경제후생지표(MEW)를 만들었다.
현재 많이 활용하는 GDP는 국민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가사노동, 여가, 공해 등)을 반영하지 않아 국민 생활의 질적·복지 수준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한다. 이에 MEW는 치안, 국방, 통근, 공중위생, 비용 등을 방어적 지출로 간주해 공제하고, 여가 가치를 추정해 더하면서 산출한다. 후생 요소를 추가하고 비후생요소를 제외함으로써 복지 수준을 정확히 반영하려는 취지이다. 그런데 통계 작성에 있어서 후생 및 비후생 요소의 수량화가 쉽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39) 경직적·신축적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품목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가격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
- 가격이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
물가지수는 다음과 같이 나눈다.
- 경직적 물가지수: 가격이 잘 바뀌지 않는 품목을 대상으로 한 물가지수
→ 인플레이션 기대를 잘 반영, 소비자 물가 예측에 유용
→ 가격 변경이 어려운 전기세/수도료는 가격 변경시 현 경제상황보다 향후 물가상승률을 예상해 현재 가격을 설정할 것
예) 공공서비스, 담배, 전기·수도, 보육·금식, 개인서비스 요금 등
- 신축적 물가지수: 가격이 빈번하게 바뀌는 품목을 대상으로 한 물가지수
→ 당기의 경제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예) 농축수산물가격과 집세 등
'금융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쉬운 고객알기와 💰고용률 뜻 (42, 43) (0) | 2021.04.06 |
---|---|
정말 쉬운 계절변동조정과 계좌대체 뜻 (40, 41) (0) | 2021.04.05 |
중요한 경제협력개발기구와 노동가능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 뜻 (36,37) (0) | 2021.03.30 |
중요한 경제성장률과 경제심리지수 뜻 (34,35) (0) | 2021.03.29 |
낯선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와 경영지도비율 뜻 (31,32, 33) (0) | 2021.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