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계절변동조정과 계좌대체이다.
40) 계절변동조정(Seasonal Adjustment)
계절변동조정: 통계적 방법에 의해 경제시계열에서 계정변동요인을 제거하는 작업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원래의 시계열 - 계절요인 - 불규칙 요인
우리는 다양한 경제통계자료를 통해 경제 흐름을 파악하려 한다. 이러한 경제 통계자료들은 일별, 월별, 분기별 등 일정기간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시계열이라고 한다.
경제 시계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추세
- 순환
- 계절변동 요인 : 주로 연관 단위(계절(1년 주기 반복), 사회적 관습(명절)) → 연간 시계열에 적용되지 않는다.
- 불규칙 요인(영업일수 차이 등)
※ 전년 동기 대비: 각 기간 계절변동요인이 같아 원래의 시계열 이용
이러한 통계자료를 곰곰이 생각해보면 명절, 기후, 계절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일정 주기로 같은 형태를 반복해 움직이는 특정 시점의 변동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계절변동이라고 한다.
대다수의 경제 관련 통계가 이러한 계절변동을 포함하기에 계절변동을 제거하고 통계자료를 바라보아야 경기 순환이나 전환점 같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경기가 하락하는데 3분기 GDP가 2분기보다 크다해서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신규 인력이 유입되는 시기인 3월의 높은 실업률이 농번기인 10월에 낮아졌으니 실업난이 개선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하니 기조적 변화를 조금이라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원 통계가 아닌 계절변동조정 통계를 활용하는 게 좋겠다.
계절변동조정 통계 작성을 위한 계절조정 프로그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X-12-ARIMA : 미국 상무부 개발
- TRAMO/SEATS : 스페인 중앙은행 개발
- BOK-X-12-ARIMA : 한국은행 사용
41) 계좌대체
계좌대체: 계좌 간 바꾸는 것
주식 거래를 하고 나서 하나하나 실물 증권으로 교부하면 비용이나 공수가 너무 많이 들기에 한국예탁결제원에 예탁된 주식을 장부상으로만 바꿔준다. 즉, 실물 증권을 일일이 주는 대신에 예탁계좌를 통하여 계좌 간 자금이체로 대체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해서 주권을 옮겨준다.
대부분의 국가가 중앙예탁기관에 이와 같은 계좌대체식으로 증권 소유권을 이전하고 있다.
참고로 얼마 전, 기념으로 어떠한 주식의 실물 증권을 받아보고자 했으나 실물주식은 폐지됐다. 2019년 6월 18일 전자증권제도 시행령의 국무회의 통과 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그렇다고 합니다. (부들)
'금융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말 쉬운 고용보조지표와 노동·취업유발효과 뜻 (44, 45) (0) | 2021.04.07 |
---|---|
진짜 쉬운 고객알기와 💰고용률 뜻 (42, 43) (0) | 2021.04.06 |
낯선 경제후생지표와 경직적·신축적 물가지수 뜻 (38, 39) (0) | 2021.03.31 |
중요한 경제협력개발기구와 노동가능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 뜻 (36,37) (0) | 2021.03.30 |
중요한 경제성장률과 경제심리지수 뜻 (34,35) (0) | 2021.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