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익숙하지만 중요한 경제성장률과 경제심리지수이다.
34)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 연간 혹은 분기 중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증가율
경제성장률은 해당 기간 중 국민소득의 규모(한 국가의 경제규모)가 늘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980년대까지는 한나라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국민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이 사용됐지만 국내 거주 국민의 실제적 복지 측정에 GDP(Gross Domestic Product)가 더 맞다는 의견에 지금은 GDP를 사용한다.
중요한 국내신용과 국내총생산(GDP) (76, 77)
76) 국내신용 (DC; Domestic Claims or Domestic Credit) 국내신용 : 통화 금융기관이 정부, 민간부문을 통해 공급한 (빌린) 통화 통화(돈)는 정부, 민간, 해외 및 기타 부문을 통해 공급된다. 이 중 통화금
yohae.tistory.com
그래서 경제성장률은 실질 GDP 증가율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해 동안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계산할 때는 복리 연율 산식을 이용해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계산한다.
구분 | 미국 | 중국 | 한국 |
경제성장률 | 2.3% | 6.1% | 2.0% |
2019 통계청 KOSIS 기준, G20 국가 내 상위 12위
35) 경제심리지수 (ESI; Economic Sentiment Index)
경제심리지수: 기업가 또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지표
경제심리지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조사 대상 |
소비자동향지수 (CSI; Consumer Survey Index) | 소비자 |
기업경기실사지수 (BSI; Business Survey Index) | 기업가 |
실물지표와 심리지표는 대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하지만 기대수준과 미래 정보의 반영 여부, 양적·질적 통계 간의 조사 척도 차이로 인해 괴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한국은행은 BBI와 CBI를 종합하여 민간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경제심리지수(EBI)를 발표하고 있다.
ESI는 BSI와 CSI 중 경기연관성이 높은 항목을 선정해 이들의 표준화 지수를 가중 평균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산출한다.
1. ESI > 100 : 민간의 경제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낙관적
2. EBI < 100 : 과거 평균보다 비관적
'금융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낯선 경제후생지표와 경직적·신축적 물가지수 뜻 (38, 39) (0) | 2021.03.31 |
---|---|
중요한 경제협력개발기구와 노동가능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 뜻 (36,37) (0) | 2021.03.30 |
낯선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와 경영지도비율 뜻 (31,32, 33) (0) | 2021.03.26 |
중요한 경기종합지수와 💰경상수지 뜻 (29,30) (0) | 2021.03.25 |
정말 쉬운 경기순응성과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뜻 (27,28) (0) | 2021.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