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언어

진짜 쉬운 테일러 준칙과 텔레뱅킹(폰뱅킹) (567,568)

by pearlant 2022. 4. 28.
반응형

 

 

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테일러 준칙과 텔레뱅킹(폰뱅킹)이다.

 

 

 

567) 테일러 준칙 (Taylor's Rule)

 

 

테일러 준칙 : 실제 인플레이션율과 실제 경제성장률이 각각 인플레이션 목표치와 잠재 성장률을 벗어나면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변경한다는 이론

 

 

테일러 준칙은 미국의 경제학자 존 테일러(John Taylor)가 1993년에 제안한 금리 준칙이다. 거시경제 안정을 위해 중앙은행이 물가 변동뿐만 아니라 산출 변동에도 금리가 조정되도록 한 금리 준칙. 즉, 인플레이션의 실제와 목표치의 격차에 따라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법칙이다.

 

테일러 준칙에서는 중앙은행의 단기 목표금리가 물가갭과 생산갭을 고려해 각각 0.5의 가중치로 결정된다.

※ 물가갭 = 실제 인플레이션율 - 목표 인플레이션율
※ 생산갭 = 실제 성장률 - 잠재성장률



그래서 중앙은행은 다음과 같이 상황에 따라 금리를 조정한다.
- 현재 인플레이션율 > 목표 인플레이션율 → 금리 올림
- 현재 인플레이션율 < 목표 인플레이션율 → 금리 내림
- 실제 성장률 > 잠재 성장률 → 금리 올림
- 실제 성장률 < 잠재 성장률 → 금리 내림


다만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테일러 준칙에 따라 통화정책을 수행하는 게 아니라 참고 지표 정도로 본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완전한 경제모형은 세상에 없으니  물가갭과 생산갭을 정확히 알 수 없다.

2. 경제는 매번 변하니 계수 값이 항상 0.5로 고정되어 있지도 않다.

3. 이 값을 확실하더라도 통화정책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데 상당한 시차가 존재하고 금융 안정과 같은 책무에도 기여해야 하기 때문에 테일러가 제시한 물가갭과 생산갭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정보와 요소가 통화정책 수행 시 고려되어야 한다.

 

 

 

 

 

 

568) 텔레뱅킹(폰뱅킹)

 

 

텔레뱅킹(폰뱅킹) : 전화로 하는 은행 업무

 

 

텔레뱅킹(폰뱅킹)은 이제 벌써 고대의 유물 같긴 한데, 고객이 은행에 직접 가지 않고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로 자금이체, 조회 등 은행 업무를 보는 걸 말한다.

 

 

 

 

금융기관은 운영비용 절감, 고객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제는 모바일뱅킹을 더 많이 쓴다. 토스, 카카오은행 등. UX/UI가 정말 편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