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언어

정말 쉬운 국민처분가능소득과 국민총소득(GNI) (84,85)

by pearlant 2021. 5. 5.
반응형

 

84) 국민처분가능소득 (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

 

 

국민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 국민이 실생활에서 본인의 만족을 위해 소비할 수 있는 소득 

 

국민처분가능소득은 전체 국민경제가 소비 또는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 규모를 의미한다. 국민의 후생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계산법은 다음과 같다.

 

 

 

시장소득(근로소득+재산소득+사업소득+사적이전소득)+공적이전소득-공적비소비지출

 

국민처분가능소득은 내가 사적으로 번 돈에서 정부 제공 혜택을 더하고 여기에서 세금을 뺀 것이다.

 

 

 

1. 시장소득 : 정부의 도움 없이 사적 계약을 통해 번 돈

  - 근로소득 : 근로계약을 통한 노동 제공 대가의 임금

  - 재산소득 : 월세 받은 돈

  - 사업소득 : 가게를 직접 열고 장사해서 번 돈

  - 사적 이전소득 : 은퇴한 노인이 직장인 자녀에게 받은 용돈

 

2. 공적이전소득 : 대가 없이 정부에서 제공하는 현금, 현물급여 등 (복지혜택)

  예) 노인 대상 기초연금, 국민연금, 건강보험에서 부담하는 의료비, 양육수당 등

 

3. 공적소비지출 : 정부에서 대가 없이 가져가는 돈

  예) 재산세, 소득세 등의 조세,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험료 등

 

 

국민처분가능소득 (NAVER)

 

 

국민처분가능소득과 유사 개념인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는 국민처분가능소득에 고정자본소득을 더한 것이다. 이 또한 중요한 지표로 총저축률과 총투자를 작성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다.

 

 

 

 

 

 

85) 국민총소득 (GNI; Gross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 :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벌어 들인 소득의 합

 

 

National은 국민이다. 국민은 우리나라 국민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국민과 내국기업이 번 모든 소득을 합친 것이다. 여기서 기준은 '우리나라 국민'이기 때문에 외국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벌어온 소득도 포함된다.

 

 

국민총소득 (GNI; Gross National Income)

 

 

즉, 생산주체의 국적만 따져서 재외국민의 수입, 해외법인의 수입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우리나라 국민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된다.

 

 

 

명목GNI (NAVER)

 

 

 

국내총샌산(GDP)을 통해 한 국가의 생산 규모를 파악한다면, 국민총소득(GNI)을 통해서는 한 국가의 국민들의 전반적인 소득 수준을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