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700선은 공급사용표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대해서이다.
56) 공급사용표 (SUT; Supply and Use Tables)
산업연관표는 투입산출표(IOT; Input-Output Tables)와 공급사용표(SUT)로 구성된다. 산업연관표에 대한 내용은 아래를 보자.
산업연관표: 1년간 국민경제에서 일어난 모든 실물거래에 대해 생산 및 처분내역을 분석한 통계표로, 각 산업부문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볼 수 있다. 5년마다 작성되며 ‘국민 경제의 골격도’라고 볼 수 있다. 1936년 미국 레온티에프 교수가 미국 경제 투입산출표를 발표한 것이 시초이다.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1960년 버전이 최초이다. 5년마다 발표되는 것은 ‘실측표(4,000여 개 업체)’이며, 실측표 발표 기간 사이에 자료를 보완하여 ‘연장표(350여 개 업체)’를 추가 발표하고 있다
산업연관표의 예로 신문 제작 과정을 보자.
신문을 인쇄할 종이를 만들려면 벌목장, 펄프 및 종이공장을 거쳐야 한다. 이후 인쇄공장에서도 인쇄작업을 거치며, 잉크도 필요하다. 여기에 기사 작성, 판매, 배달 등의 인력도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산업연관표에 담겨 있다.
1. 투입산출표 : 상품 기준 생산내역
투입산출표는 한 산업에서 한 상품만 생산하는 것으로 가정하기에 현실 경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2. 공급사용표 : 산업 기준 생산내역
공급사용표는 공급표와 사용표로 구성된다. 산업 기준에 따라 작성하기에 현실 경제가 잘 반영된다. 또한 국민소득통계, 국민대차대조표 등 국민경제 통계 간의 정합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급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가로 방향 : 각 상품이 어느 산업에서 얼만큼 생산되어 공급하는지 = 상품의 산업별 공급구조
2. 세로 방향 : 각 산업에서 어떤 상품이 얼만큼 생산(또는 공급)되는지 = 산업별 상품의 생산구조
사용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가로 방향 : 공급된 상품이 중간수요 또는 최종수요로 사용된 내역
2. 세로 방향 : 각 산업의 생산활동에 투입되는 중간재와 부가가치
💰 57) 공급탄력성 (PES; Price Elasticity of Supply)
공급탄력성은 세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공급탄력성이라고 하면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말한다.
공급탄력성: 가격이 변할 때, 공급이 얼마나 변하는지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
공급탄력성은 한 단위의 상품 가격이 1% 변하면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낸다. 따라서 공급탄력성은 상품 가격의 상승·하락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는 생산자 역량에 따라 다르다.
공급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로 계산한다. 가격과 공급은 비례 관계이기에, 공급탄력성은 값이 유의미할 경우 양의 값(+)이다. 어떤 재화의 공급량이 가격 변동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면 공급탄력성은 0이다.
공급탄력성 값(e)을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완전 탄력적 : 한 재화의 공급곡선이 수평선 : 공급탄력성 = ∞
2. 공급 탄력적 : 1%의 가격 상승이 1%보다 더 큰 공급량 증가
3. 공급 비탄력적 : 1%의 가격 상승이 1%보다 더 적은 공급량 증가
4. 공급 단위 탄력적 : 공급량 변화율 = 가격변화율 : 공급탄력성 = 1
5. 완전 비탄력적 : 재화의 공급량이 가격 변동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 : 공급탄력성 = 0
'금융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관리통화제도와 교환사채 뜻 (60, 61) (0) | 2021.04.19 |
---|---|
쉽지만 알아야 할 💰공매도와 관리변동환율제 (feat. 삼성전자) 뜻 (58,59) (0) | 2021.04.16 |
정말 중요한 공개시장운영과 💰공공재 뜻 (54, 55) (0) | 2021.04.14 |
요새 주목받는 💰국민고통지수(경제고통지수)와 💰골디락스경제 뜻 (52, 53) (0) | 2021.04.13 |
중요한 고정자본소모와 고정환율제도/변동환율제도 뜻 (50, 51) (0) | 2021.04.12 |
댓글